엔트리-아두이노
모든 무료책 보기엔트리 커스텀 버전 다운로드 책 관련 Q&A
  • 엔트리로 실전 아두이노 배우기
  • 1. 엔트리란
  • 2. 아두이노란
  • 3. 아두이노 블록코딩의 시작
    • 3.1 아두이노 블록코딩의 한계
    • 3.2 아두이노 보드와 연결하기
    • 3.3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 3.4 Hello World 코딩
    • 3.5 코드 업로드 하기
    • 3.6 블록코딩을 텍스트 코딩으로 변환하기
  • 4. 아두이노 보드 기본
    • 4.1 아두이노 보드의 종류
    • 4.2 아두이노 입출력 핀 구성
  • 5. 실전 아두이노 블록코딩
    • 5.1 디지털 출력 코딩
    • 5.2 디지털 입력 코딩
    • 5.3 아날로그 출력 코딩
    • 5.4 아날로그 입력 코딩
  • 6. 마무리
  • 7. 부록
    • 6.1 저항의 종류와 색 띠 저항값 읽는 법
    • 6.2 PIR 센서모듈 설정 방법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1. 3. 아두이노 블록코딩의 시작

3.2 아두이노 보드와 연결하기

자 그러면, 본격적인 코딩에 앞서 엔트리를 아두이노와 연결해 보겠습니다.

Previous3.1 아두이노 블록코딩의 한계Next3.3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Last updated 1 year ago

본 서는 엔트리에 아두이노 코드 변환/에디터/업로드를 구현한 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참고로 하드웨어와의 연결설정 메뉴얼은 엔트리 오프라인 버전의 도움말 두번째 메뉴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하드웨어 탭]의 [연결 프로그램 열기]를 눌러 하드웨어 연결 프로그램을 엽니다.

2. 본 서에서는 블록코딩시 아두이노의 가장 많은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아두이노 Uno 확장모드]를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아두이노 Uno 확장모드]를 선택합니다.

3. 윈도우즈(Windows) 운영체제 사용자로서 처음 아두이노를 연결하는 경우에 한해 최초 1회 드라이버 설치가 필요합니다. 드라이버 설치 후 아두이노 연결을 위한 펌웨어는 항상 자동 설치되므로 별도로 설치 버튼을 누를 필요는 없습니다.

4. 하드웨어 > 연결중이 연결성공으로 바뀌면 창을 닫지 않고 최소화 또는 그대로 두어 연결을 유지합니다.

5. 이제 연결이 완료되었고, 아두이노 코딩에 사용할 수 있는 아두이노 전용 블록 12개가 보이실 겁니다. 자 이제 이 블록들을 이용해 코딩을 시작해 볼까요? 아, 그 전에 다음 과에서 아주 기본적인 전자회로 관련 지식 몇 가지와 실습하고자 하는 아두이노 보드의 특징 몇 가지를 알아봅시다.

커스텀 오프라인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