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개발환경 구축
Last updated
Last updated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 배우는 책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챕터가 아닐까 한다. 왜냐면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코딩을 시작하기 위해 사전에 기본적으로 설치될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고, 이를 설치(Install)하고 설정(Configuration)한 이후에야 본격적인 코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이 과정에는 크게, 2가지가 필요하다. 첫번째는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여기서는 파이썬) 그 자체를 설치하는 일이고, 두번째는 이제 그 설치된 언어로 컴퓨터와 소통하기 위해 의미있는 문장과 글을 써내려가는 일(우리는 이 과정을 코딩(또는 프로그래밍)이라 함)을 쉽고 편하게 도와 줄 도우미 프로그램인 코드 편집기(텍스트 에디터: Text Editor) 또는 통합개발환경(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일이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은 새로운 코딩언어를 사용하게 될 때마다 매번 거쳐야 하는 일상적인 일임에도 불구하고, 초보자 입장에서는 여전히 번거롭고 까다로울 수 있는데 예를들어 설치과정 중 문제라도 생겨 해결을 위한 트러블슈팅(trobleshooting)하는 과정 등에서부터 막히면 텍스트코딩은 어렵다는 선입견을 갖을 수 있고, 다행히 저자와 같이 이런 같은 고민을 했던 또다른 해외 개발자/교육자 그룹이 있었으며, 그들은 그러한 목적에 맞게 개발환경의 추가적인 설치가 필요없이 앱을 실행시키지마자 곧바로 코딩을 시작할 수 있는 필요한 모든 것을 이미 다 에디터에 탑재시킨 Mu 에디터(Mu editor)라는 코드 편집기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며, 따라서, 코딩 외에 주변적인 일은 최대한 간소화와 생략시키고, 우리가 더 깊히 알고 이해해야 할 텍스트코딩이란 본질에만 더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우리의 취지에 맞게 우리는 Mu 에디터(코드편집기)를 활용해 코딩하도록 하겠다.
설치를 위해 Mu 에디터 공식 사이트를 방문해 본인의 컴퓨터 환경에 따라(컴퓨터의 운영체제는 무엇인지에 따라)에 맞는 현 시점의 가장 최신의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된다.
Mu 에디터는 코딩도우미 프로그램으로서 "단순 코드 편집기" 또는 "통합개발환경(IDE) 프로그램" 둘 중에 어느 쪽에 더 가까울까? 답은 때로는 IDE에 좀 더 가깝고, 때로는 코드 편집기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Mu 에디터에는 본인이 코딩하려는 개발환경(이를 모드(mode)라 지칭)을 선택해 손쉽게 바꿀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한 개의 에디터로 다양한 파이썬 코딩(일반 SW개발코딩, 게임코딩, HW제어코딩 등) 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초보자 입장에서는 매우 편리한 기능이다. 이러한 모드를 선택하려면 에디터 상단의 메뉴바(Menu bar)에서 Mode(모드) 아이콘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개발환경)모드를 선택해 바꿀 수 있으며(이는 마치 tv리모콘으로 tv채널을 변경하듯이 손쉽게), 현재 우리는 파이게임제로를 활용한 게임코딩을 할 예정이므로, 파이게임제로 모드를 선택해 보자.
모드가 잘 선택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현재 선택된 코딩환경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상태바(Status bar)를 통해 우리가 선택한 코딩모드가 잘 선택되었는지 한번더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우리는 코딩을 시작하기 위한 사전 준비를 마쳤고, 이제 다음 시간부터는 우리 교육에 최적화 된 커스텀 Mu 에디터를 활용해 본격적인 파이썬 언어 코딩을 시작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