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리스트 (List)
블록코딩에서 리스트라고 불렸던 저장공간의 목적은 무엇이었는가? 앞에서 변수가 단 하나의 변화하는 값(또는 사전에 값을 특정할 수 없는 값)을 저장했다면, 리스트라는 공간은 변화하는 단 하나의 값이 아니라, 여러 개의 복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있는 공간인 것이다.
이러한 공간을 파이썬에서는 리스트(list)라고 부르고, 다른 텍스트코딩 언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배열(array)라고 부르는데 엔트리에서 이러한 복수개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을 이름지으면서 어떤 다른 단어로 예를들어 '목록' 등의 변역된 한글이름으로 표현할 수 있었음에도 의도적으로 리스트(list)라고 파이썬 상의 용어표현 그대로 도입한 것부터 사실상 이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한 잘짜여진 각본이 있었단 생각이 든다.
블록코딩에서 리스트가 엔트리-파이썬 텍스트코딩에서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 그럼, 예제를 통해 엔트리-파이썬에서 어떻게 코딩할 수 있는지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3.3장에서 만들었던 덧셈전용 계산기 프로그램에서 이 리스트를 활용하여 사용성을 더 개선시킬 수 있다. 3.3장의 덧셈전용 계산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임의의 두 값만을 받아 합계를 구해주고 있다. 이제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게 단지 두개의 값만이 아닌 제안없이 더 많은 수를 연속적으로 입력받아 입력한 모든 수를 더한 합계를 구해줄 수 있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더나은 사용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먼저, 리스트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 문법을 확인해보자.
리스트명 = [문자, 숫자 등의 여러 값. 단, 값들은 콤마(,)로 구분]
리스트의 이름은 변수의 이름을 지을 때와 동일하게 임의로 지을 수 있는데, 나를 포함해 누구라도 코드의미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항상 의미있게 이름 짓는 습관을 드리는게 필요하다. 이전에도 언급했지만, 이는 프로그래밍 세계에서의 주요한 기본 덕목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리스트명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고는 했으나, 사실은 파이썬에서 리스트 이름을 지을 때, 변수이름 지을 때와 마찬가지로 크게 지켜야 할 2가지 규칙은 있다.
리스트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리스트의 이름 사이에 공백이 있을 수 없다.
다음은 문법에 맞게 작성한 리스트의 예제들이다.
words = ["apple", "banana", "grape"]
numbers = [1, 3, 10, 25, 2]
complex = ["apple", 2, 32, "berry", 56, 5]
words라는 이름에 리스트는 문자형(string) 데이터 유형(type)의 값(또는 아이템이라 호칭) 3개를 갖고 있다.
numbers라는 이름에 리스트는 숫자형 데이터 유형의 아이템 5개를 갖고 있다.
complex라는 이름에 리스트는 문자형, 숫자형의 데이터 유형의 값을 섞어서 총 6개의 아이템을 갖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리스트를 선언하면서 동시에 초기값(선언하면서 동시에 맨 처음 할당하는 값)을 설정하는 법을 배웠다. 이제 더 배워야 할 지식은 리스트 안에 저장된 값들(아이템들)을 접근해 읽어오는 법, 기존 리스트에 새로운 신규 값(아이템)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방금 언급된 리스트를 다루는 방법들은 이번 장의 서두에서 언급된 우리가 목표하는 앱인 발전된 덧셈계산기 앱의 코드들을 하나씩 분석해 보면서 배워나가기로 하자.
이제 len 함수가 무엇인지 알아야겠다. 사용법을 보면 특이한데 함수명 앞에 그 함수가 위치한 어떤 위치정보 예를들어 어떤 라이브러리의 이름이나, 리스트명나 변수명으로 참조하여 함수를 부른 것이 전혀없다. 이 말인 즉은 이 함수는 어디에 속한게 아닌 파이썬 언어 내부에 디폴트로 내장되어 있는 함수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름만으로 맘대로 불러서 사용할 수 있는 특별함수이고 우리는 이를 특별히 내장함수라고 호칭한다. 그렇다 len함수는 내장함수이고, 용도는 그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는데, length(길이)의 약자로 만든 함수 이름으로 결국 특정 데이터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데이터의 길이)을 알려주는 함수이다. 따라서, 여기서 len 함수로 넘겨진 데이터값은 numbers라는 리스트로 결국, 해당 리스트가 갖고 있는 아이템의 개수를 알려주게 된다. 25번 라인의 코드에 의해서 사용자가 임의의 숫자 2개를 입력했으면, len 함수로 확인해 보면 현재 아이템개수는 2라는 것을, 사용자가 임의의 숫자 3개를 입력했으면 현재 아이템개수는 3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위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파악된 의미들을 종합해 해당 코드를 정확하게 다시 해석하면 len(numbers) != 0 이란 조건을 가진 while문은 결국, numbers라는 리스트에 아이템이 하나도 없을 때까지 반복하라는 것이다.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하는데로 numbers에는 계속 아이템들이 채워질텐데 어째서 하나도 없는 상황이 가능한 것일까 라는 의문이 들 수 있다. 그것은 19~20번 라인의 코드를 해석하면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리스트이름[참조 인덱스]
다음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리스트 안에 아이템이 존재하게 되는 그 순간(리스트 정의와 동시에 초기값 설정이든, 추후 신규 아이템이 추가되든), 곧바로, 다음에 그림과 같이 파이썬 언어 내부적으로 각 아이템이 리스트 내에 위치한 순서에 따라 맨 앞에서부터 0부터 1씩 증가하며 자동으로 매겨지는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인덱스값이 내부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우리는 그 인덱스값을 이용해서 리스트 안의 각 아이템의 값들을 읽을 수 있게 된다.
우리가 만약 저 words라는 리스트 안에 두번째 위치한 "banana"라는 아이템(값)을 읽어오고 싶다면, 이제 리스트의 특정 위치의 아이템을 읽는 문법에 따라 words[1] 이라고 표현해 읽을 수 있는 것이다. 아래 그림처럼 엔트리는 이러한 리스트 내의 값들과 참조 인덱스값들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여 보여주고 있는데, 우리의 예제에서 실행결과화면을 보면 좌측상단에 numbers 리스트 안에 2와 3이 순서대로 들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처음에 2라는 숫자값을 입력해고, 이어서 3이라는 숫자값을 입력한 상황인 것이다.
우리 예제의 위의 실행 결과화면에서(2, 3값이 연달아 입력되어진 상태에서) 연이어 살펴보면, 이 코드가 실행되면 리스트 안에 맨 처음값 숫자 2는 리스트에서 제거됨과 동시에 그 뒤에 위치해 있던 숫자 3이 방금 제거되어진 2가 있던 위치로 자동으로 끌어당겨져와 이제 맨앞에 위치하게 된다. pop(0)라는 의미는 결국 현 시점에서 항상 리스트 상에 맨 앞에 위치한 값을 가르키게 되는 것이다. 위에 코드를 엔트리에서 직접 실행시켜보자. 글로 읽은 것보다 한번 보는게 더 나은데 엔트리가 이러한 단계적 동작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해 비주얼적으로 보여주므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우리가 목표한 사용자로부터 제안없는 수를 연속적으로 입력받아 입력한 모든 수를 더한 합계를 구해주는 기능을 갖는 앱을 최종구현 완료하였다. 해당 기능은 반드시 위에서 언급된 식으로만 코딩해야 하는 것이 당연히 아니다. 동일 기능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지금의 코드는 그 중에 한 방법일 뿐이다. 사실은 이게 엔트리-파이썬이 아니고, 오리지널 파이썬였다면 훨씬 더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코드가 존재하나, 우리는 엔트리-파이썬이 허용하는 문법표현 한계 안에서 코딩할 수 밖에 없고 또 여러분에게 리스트를 조작하는 다양한 표현법을 보여주려고 일부러 저렇게 코딩한 이유도 있다는 것을 참고하길 바란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