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배우들의 움직임 구현하기

이번 절에서 우리는 우리 무대의 등장인물을 각각 움직여 보도록 하겠다. 가장 먼저는 이 게임에서 유일하게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반사판을 화면 하단의 좌우방향으로만 움직이되 화면의 끝을 넘어가지는 못하도록 코딩하겠다.

TITLE = 'Breakout'
WIDTH = 800
HEIGHT = 600

GAP_FROM_SCREEN = 50
ball = Actor('ball', (WIDTH / 2, HEIGHT / 2))
bar = Actor('bar', (WIDTH / 2, HEIGHT - GAP_FROM_SCREEN))

# 4행*8열짜리 블록더미 만들기
blocks = []
for block_row in range(4):
    for block_col in range(8):
        block = Actor(
            'block', 
            (block_col * 100, block_row * 32 + GAP_FROM_SCREEN),
            anchor=('left', 'top')
        )
        blocks.append(block)

def draw():
    screen.blit('space', (0, 0))
    ball.draw()
    bar.draw()
    for block in blocks:
        block.draw()
        
def update():    
    # 반사판의 이동을 화면 안에 안에 가두기
    if bar.left < 0:
        bar.left = 0
    if bar.right > WIDTH:
        bar.right = WIDTH

def on_mouse_move(pos):
    x, y = pos
    bar.centerx = x

🔢 34-36 라인에서 마우스가 움직이는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콜백호출 되는 on_mouse_move 콜백함수를 사용하도록 하자. 해당 함수에 대한 자세한 사용법은 파이게임제로 라이브러리 문서를 살펴보면 될 것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on_mouse_move 함수의 첫번째 인자인 pos 는 움직이는 마우스 포인터의 현재 위치(x, y좌표값)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35번 라인에서 pos안에 두 값(x, y좌표값)을 각각의 x, y 변수값의 분리해낸 후, 우리는 이것의 x좌표값을 bar.centerx 위치(bar객체 중심위치의 x좌표)와 동조화시키도록 하면서, 마우스를 움직일 때마다 bar 객체가 계속 따라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움직이는 bar 객체가 게임화면을 넘어서까지 이동할 수 없도록 update 콜백함수 내의 29-32번 라인처럼 만약 화면좌측 끝을 넘어간다면(bar.left < 0 라면) 그때는 실제로 음수값을 갖게하면 안되기 때문에 최대치인 0값을 그대로 유지하게 하고, 마찬가지로 화면우측 끝을 넘어간다면(bar.right > WIDTH 라면) 그 이상의 값을 갖지 못하도록 bar.right의 최대치인 WIDTH를 유지하도록 하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 움직임의 최대치 경계를 지어주면 된다.

TITLE = 'Breakout'
WIDTH = 800
HEIGHT = 600

GAP_FROM_SCREEN = 50
ball = Actor('ball', (WIDTH / 2, HEIGHT / 2))
bar = Actor('bar', (WIDTH / 2, HEIGHT - GAP_FROM_SCREEN))

# 4행*8열짜리 블록더미 만들기
blocks = []
for block_row in range(4):
    for block_col in range(8):
        block = Actor(
            'block', 
            (block_col * 100, block_row * 32 + GAP_FROM_SCREEN),
            anchor=('left', 'top')
        )
        blocks.append(block)

# 볼의 초기 (방향이 있는)속도값
vx = 5
vy = -5

def draw():
    screen.blit('background', (0, 0))
    ball.draw()
    bar.draw()
    for block in blocks:
        block.draw()
        
def update():
    global vx, vy
    
    # 반사판의 이동을 화면 안에 안에 가두기
    if bar.left < 0:
        bar.left = 0
    if bar.right > WIDTH:
        bar.right = WIDTH
    
    # 각각의 x와 y 방향으로 거리 vx와 vy만큼 공을 이동시키기
    ball.move_ip(vx, vy)

def on_mouse_move(pos):
    x, y = pos
    bar.centerx = x

🔢 두번째로 공을 움직임을 주기 위해 추가된 코드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공을 이동시키려면 기본적으로 파이게임 좌표계 안에서 어떤 방향(direction)으로 얼마만한 속력(speed)으로 이동하겠는가라는 기준을 정해야 할 것이다. 이 두 가지 속도와 방향이 합쳐진 물리량을 속도(velocity)라고 부른다. 지금은 물리시간은 아니니 이 개념의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면 나무위키 등을 찾아보자^^; 다만,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고, 기존의 파이게임좌표계를 기준하면 되고, x축에서 좌측방향(음수) 또는 우측방향(양수)으로 한번 이동할 때는 얼마크기만큼 이동하겠느냐의 개념이고, 마찬가지로 y축에서 상측방향(음수) 또는 하측방향(양수)으로 한번 이동할 때 얼마크기만큼 이동하겠느냐 값이고, 각각의 두축의 속도의 초기값 갖고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21-22라인에 그 내용을 글로벌 변수로 코딩했다. 글로벌 변수로 사용했다는 의미는 이 변수값이 함수 여러곳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함수 안에 이 변수값을 바꿀 수 있고, 그 바뀌어진 값이 다음번 함수 진입시마다 계속 유지된 상태여야 한다는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의도적인 코딩이다. 이번의 경우는 후자의 목적실현에서 글로벌 변수로 코딩했다.

그리고, 이를 update 함수 안에 적용하여 초당 60회 호출이 되는(5.2절에서 이미 언급) update 함수 호출 때마다 객체를 계속 이동시키기 위해 41번 라인에 ball 객체가 갖고 있는 move_ip 함수(메소드)를 활용했다. 이 함수의 인자로 우리가 설정한 두축의 초기 속도값을 전달하면, 호출될 때마다 해당 객체의 현재 위치에서 그 속도의 다음위치를 이동시켜주게 된다. 만약 move_ip 함수}를 사용하기 싫으면 그 대신에 다음과 같이 코딩해도 똑같은 의미이고, 결국 ball 객체의 x, y 위치값을 속도 변화량인 vx, vy 만큼 매번 누적변화를 만든다는 의미이다.

ball.x += vx
ball.y += vy

우리는 지난 절에서 많은 것을 배우느라 머리 속에 넣을 것이 많아 약간 피곤(?)해졌을 수 있어서, 여기서 간단히 이정도로 이번 절을 마무리하겠다. 다음 절에서는 더 재미있는 공을 반사시키고, 블록을 격파하는 알고리즘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Last updated